- 하루 중 빈 시간 2~3시간의 '무의식' 시간을 갖음 - 뇌가 반추할 수 있는 공백을 허용해야 함
😎 아무 것도 안 한다고 뇌가 쉬기만 하진 않습니다. 정리하고 새로운 발상을 위해 노력합니다.
2. 배움을 계속하세요
- 리더가 된 후에도 책을 읽고, 강연을 보고, 다른 리더들과 대화를 나눔
😎 맞습니다. 저 역시 배움을 게을리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우리는 늘 진보해야 하고 그 바탕은 학습입니다.
3. 구호보다 '목적'이 있어야 해요
- 대부분 조직은 멋진 가치체계가 있음. 하지만 실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이들은 행동과 결정을 내리는 기준이 돼야 함.
😎 사람이나 돈보다 목적이 당신을 이끌게 하세요.
4. 성장을 넘어서세요
- 성장에 대한 집착이 과도함. 성장은 결과일뿐임.
- 성장만을 강조하면 성실성, 윤리, 품질 등의 가치가 타격을 입을 수도 있음.
😎 나무의 나이테는 사실 겨울에 성장한 자국입니다. 성장을 낮추고 내년을 준비하는 것이죠.
5. 항상 베풀는 모습을 유지하세요
- 당신의 야망을 내려 놓고 당신 앞에 있는 사람을 풍요롭게 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함.
😎 결국 기업은 경영자 맘대로, 원하는 대로만 운영될 수 없습니다. 당연한 말인데 리더는 종종 스타가 되고자 합니다. 하지만 경영자는 스타가 아니라 우주를 만드는 사람이 돼야 합니다.
6. 현실적인 비관론이 필요해요
- 낙관만 하고 있을 수는 없음.
- 현실로 나가게 하는 발전적인 비관론도 필요함. 단, 조롱이나 힐난을 일삼아서는 안 됨.
😎 낙관론과 비관론 사이에서 실전적으로 의미가 있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조심스럽고, 위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비관론을 택해서는 안 됩니다.
7.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어요
- 지능과 이해를 신뢰의 근간으로 생각하는 오류가 있었음.
- '모른다'라고 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편이 휠씬 효과가 있음.
😎 내가 모른다는 걸 직원들이 알게 하세요. 창피하다고요? 아는 척하다 몰랐다는 게 뽀록 났을 때가 제일 창피한 겁니다. 또 그래야 직원도 모른다는 얘길 스스럼 없이 할 수 있어요.
전설적인 그의 TED 영상을 드립니다. 꼭 한번씩 보시길 바랍니다. 보셨어도 한번 더 보세요. ^^
독서 토론 모임 트레바리에서 <리더의 탄생-일> 클럽을 지난 2월에 이어 6월부터 다시 오픈합니다. '이 비싼 돈을 내고 왜 모여서 책을 볼까' 생각했지만 클럽을 거듭할수록 좋은 사람들과의 네트워킹이 정말 만족스럽더군요. 독서모임과 별도 번개 모임에서 뵙고 싶습니다. 함께 하실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