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매주 금요일마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드라마를 1화씩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신병'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실상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우리 모두 환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1:1 코칭에 나서보면 정신 질환이 염려되는 리더 분을 가끔씩 보게 됩니다.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드라마였고, 위로와 반성을 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꼭 보셨으면 합니다. (강한 스포를 담고 있습니다)
2화는 직장 상사(부장)로부터 가스라이팅 당해 입원한 김성식 환자(팀장, 불안 장애 환자)의 이야기가 주를 이룹니다. 가스라이팅은 단순히 괴롭히고 학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대의 자아를 무너지게 합니다. 모두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강박을 갖게 됩니다. 심지어 자살까지 생각하게 되는데요.
이런 환자를 궁훌하게 여긴 주인공 정다은 간호사는 그의 부탁을 들어주다 이송 작업을 망치게 됩니다. 간호부 사람들 모두 정 간호사를 비난하게 됩니다. 이런 반응에 수 간호사가 말합니다.
"너 김성식 님 애완 고양이 이름 알아? 아마도 간호부에서 이름 아는 사람은 정다은 간호사 하나뿐일걸? 병원 절차나 규율보다 환자부터 생각했던 그때, 우리가 바쁘게 산다고 그걸 잊고 살았네."
'가스라이팅'은 단순 괴롭힘과는 구별돼야 합니다. 사실 분별 없이 쓰이는 경향이 있어서요. 그리고 시스템이 감당할 역할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폭언과 욕설을 남발하는 상사를 왜 회사는 내버려뒀을까요?
아파하는 개인을 두고 시스템(회사)은 무얼 하고 있었을까요? 김성식 환자의 치료가 완료돼서 회사에 복귀해도 그는 괜찮을까요?
1화에서 나왔던 정다은 간호사의 전과 이유에 대해서도 고려해봅니다. 일이 많은 것은 기본적으로 간호사 수가 적어서겠죠. 특정 간호사가 게으르거나 일을 잘 처리하지 못해서만은 아닐 겁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OECD 주요 27개국의 인구 1천 명당 간호사 수(2020년 기준)입니다. 한참 아래 있네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