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AMD 등의 AI 칩 개발과 아키텍처에 대한 대화에 이어..., 위 동영상에서는 09:10경부터 시작)
Q: 당신은 구글에 오래 재직했고, 그 시절에 AI 관련 아키텍처를 만들었잖아요... 제프 딘 같은 사람이 있어 가능했지요. 그런데 최근에는 방향을 잘못 들어선 게 아닌가 싶어요. 현재 AI 업계에선 Claude가 1위라고 해서 순다(현재 CEO)에게 물었는데, 확실히 답을 하지 않더군요. 객관적이고 날카롭게 얘기해줄 수 있나요?
A: 나는 이제 구글 직원이 아닙니다. 구글은 워라밸, 즉 일찍 퇴근하고 재택근무하는 게 승리보다 더 중요하다고 결정했습니다. 사실, 스타트업이 잘 돌아가는 이유는 사람들이 정말 엄청 열심히 일하기 때문이죠.
여러분이 회사를 차리면 재택근무를 허용하고 일주일에 하루만 출근하게 하진 않겠죠... 일론 머스크가 사람들한테 뭘 이끌어내는 지 한번 보세요. 나랑 저녁을 먹었는데, 자정에 X(구 트위터) 직원들이랑 미팅을 한다더군요.
대만에서 tsmc에서 감명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박사 졸업생들이 일정 기간 공장에서 일한다고 하더군요. 미국에서 가능할까요?
'에릭 슈미츠'를 지우고 보면 어떤 꼰대 사장이 한 말이라고 해도 믿을 것 같습니다. 재택근무에 대해 CEO들의 호불호는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저 역시 100% 재택근무는 반대합니다만, 그의 인식에는 몇가지 오류가 있습니다.
1. 현재 구글처럼 오픈AI 역시 주3일 출근제를 시행 중입니다. 재택근무 때문에 AI 경쟁력이 뒤떨어졌다는 것은 수긍이 어렵습니다.
3. 그의 말을 믿는다면 '재택근무는 특혜가 아니라 일하는 방식 중 하나'라는 원칙을 구현하지 못한 듯 합니다. 달라진 방식에 적합한 관리를 하지 못한 것이죠. 이 사이 직원들은 이를 '복지'로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노조는 소셜미디어 엑스에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